Git을 소스트리에 연동하기
1. 일단 소스트리를 설치하세요.
2. 유효한 깃 저장소 혹은 깃 서비스 계정도 있어야 합니다.
3. SSH키를 깃 서비스 계정에 등록해 놓아야 합니다.
-> 이것은 이 링크 4번째 문단 4. git clone 명령어, 그리고 git에 접근하기 위한 SSH Key 생성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https URL 사용 시 이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것 같습니다. 저도 Git을 공부하기 시작한게 오래되지 않아서.. 확신이 안 서네요 죄송합니다.
4. 선생님에게 문의하여 깃랩의 해당 깃 저장소 접근 권한을 획득합니다.
-> 3번 과정 수행 유무와 별개로 접근 권한은 반드시 받은 상태여야 합니다.
소스트리를 설치하시면 처음에 New Tab이라는 메뉴가 나올텐데, 탭 바로 아래에 보시면 Clone 버튼이 있습니다.
버튼을 누르시면 아래 사진과 같은 메뉴가 뜹니다.
첫 번째 빈 칸은 깃 저장소의 https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유효한 Git 저장소인지 확인한 후, 깃 서비스 계정으로 로그인 하라는 팝업이 뜹니다. SSH키가 등록된 계정으로 로그인 합니다.
지금 우리 같은 경우는 깃랩 계정으로 로그인 하라는 안내가 뜰 겁니다.
두 번째 빈 칸은 로컬 깃 저장소로 사용할 폴더의 위치를 입력해주세요
세 번째 빈 칸은 탭에서 표시할 이름을 입력해주세요.
이후 클론 버튼을 누릅니다.
다음과 같은 창으로 변하면 성공입니다.
소스트리의 사용법에 대한 튜토리얼은 아래 링크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생활코딩 - Git(GUI)
프로 Git : Git을 공부하기에 좋은 서적입니다. 꽤 전문적인 내용이 나오니 '난 깃 마스터가 될거야'정도가 아니고서야 꼭 사서 보실 필요는 없습니다.
소스트리 사용법에 대한 것은 위에 링크된 생활코딩 사이트를 활용하세요.
Comments 1
저는 jGlobals에 깃 기능을 넣을 예정이예요. 프로젝트 단위로 바로 Git이랑 OTL레벨에서 추가할려고 생각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