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Globals 업데이트
jGlobals의 기능에 몇 가지를 수정하고 추가해 봤습니다.
변경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1. Root Path 에서 Windows의 WORK 환경변수를 읽어서 초기화를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Windows의 환경변수에서 WORK 변수를 만들어 자신의 프로젝트 폴더들이 있는 경로로 설정하면
jGlobals가 실행될때 WORK에 설정된 디렉토리 경로가 Root Path에 설정되게 됩니다.
(예를 들어 WORK에 'C:\Git\Junho_Portfolio\' 라고 설정했다면 바로 jGlobals의 Project에서 자신의 프로젝트 폴더를 선택해서 사용가능합니다.)
처음부터 WORK를 자신의 시뮬레이션 프로젝트들이 있는 폴더로 바로 설정해도 되지만
만약 내 프로젝트들이 있는 폴더가 여러개 있다면, (EX: 예를 들어 C:\Git\ 에 Junho_Portfolio, Junho_Portfolio2 등등 )
WORK 는 가장 상위의 폴더로 만들어 놓고(EX: C:\Git\ )
jGlobals를 불렀을때 Root Path 옆의 List버튼을 누르면 내가 원하는 폴더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도 하기 싫고 직접 프로젝트 폴더를 입력하고 싶다면 그냥 입력하셔도 됩니다.
단, 이 때 옆의 List버튼을 눌러도 WORK 환경변수에 지정된 경로안의 디렉토리 들이 나오기 때문에
이것을 해제하고 싶으시다면 옆에 Unset Root Path버튼을 눌러서 내가 직접 입력한 경로 안의 디렉토리들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때 한번 해제했다면 후디니를 껐다가 다시 켤때까지 WORK 환경변수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2. 'Project Folders' Tab에 후디니의 JOB 변수를 변경할 수 있는 버튼을 넣었습니다.
JOB변수를 사용하기 위해 현재의 Root Path와 Project,Node를 이용하여 JOB변수를 설정합니다.
이 버튼이 제대로 동작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Edit의 Aliases and Variables에서 JOB변수가 제대로 변경되었는지 확인하시고
사용하셔야 합니다. 무슨 이유때문인지는 확실하지 않은데 바로 변경되지 않고 조금 기다려야 변경이 되거나 안될 수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버튼을 한번 더 눌러보시기 바랍니다.
File Cache노드로 Cache를 저장 할 때 기본 Geometry File 경로가 $HIP/geo 로 되어있는데 이 경로로 Cache를 저장하게 되면 jGlobals에서 생성할 수 있는
geo폴더와 경로가 맞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JOB변수를 변경한 다음 $HIP을 $JOB으로 변경해주면 jGlobals에서 생성한 geo폴더로
Cache가 저장되게 됩니다.
Comments